심혈관조영실 검사목록
지역거점 공공병원으로서 최적의 진료환경과 의료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심혈관조영실은 막히거나 좁아진 혈관을 정확히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즉시 치료까지 이어지는 전문 진료 공간입니다.
관상동맥조영술, 스텐트 삽입술, 뇌혈관 및 말초혈관 시술 등 다양한 시술을 통해 환자의 응급 상황에 신속히 대응하며, 합병증을 줄이고 회복을 앞당길 수 있도록 돕습니다.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전문 의료진이 환자의 안전을 지키며 최적의 치료 결과를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
검사 목록
CAG(심장혈관조영술)
허혈성 심혈관 질환의 정확한 진단 목적으로 주로 환자의 요골동맥을 통해 카테터를 진입시켜 관상동맥 입구에 삽입하고 조영술을 시행한다.
PTCA(경피적 관상동맥 혈관성형술)
허혈성 심혈관 질환의 치료 중 하나로 풍선카테터를 관상동맥의 좁아진 부위까지 진입하여 풍선을 부풀려 좁아진 동맥을 넓혀주는 시술이다.
PCI(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허혈성 심혈관 질환의 치료 중 하나로 풍선카테터를 동맥의 좁아진 부위까지 진입하여 스텐트라는 금속망을 삽입하는 치료 방법이다.
Coronary spasm test(관상동맥 연축검사)
심장연축 의심 환자에게 약물을 통해 혈관 평활근을 수축시켜 혈관 경련을 유발함으로써 Variant angina의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위한 검사이다.
FFR(심근분획혈류예비력 검사)
관상동맥의 협착 병변이 있는 경우 병변의 근위부와 원위부 사이에 압력차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 압력을 측정하여 관동맥 협착의 정도를 기능적으로 평가한다.
PMV(경피적 승모판 풍선확장술)
경도-중증도의 승모판 협착으로 승모판막 폐쇄부전이 심하지 않은 경우 풍선확장술을 통해 협착을 넓혀주기 위한 시술이다.
ASD(심방중격결손 폐쇄 시술)
비수술적 치료로서 Device를 삽입하여 결손을 막고 혈액의 단락을 차단한다.
PDA(동맥관개존증 폐쇄 시술)
비수술적 치료로써 Device를 삽입하여 결손을 막고 혈액의 단락을 차단한다.
Temporary pacemaker(일시적 심장박동기 삽입술)
부정맥에 대한 보조 안전장치로 특히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 대한 우측 관상동맥 중재 시술 시 보조 안전장치로써 사용한다.
Pericardiocentesis(심낭천자)
정상 이상의 심막 삼출액을 제거하고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응급으로 시행한다.
Intra-Aorta Balloon pump(대동맥순환 보조 펌프 시술)
심인성 쇼크 환자에게서 심근의 작업량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통해 환자의 상태로 호전시키고 관상동맥 중재 시술 시 보조 안전장치로써 사용한다.